2025.02.04 IT/과학 뉴스
SKT, MIT와 생성형AI 혁신 손잡았다…오픈AI·코카콜라도 협업
SKT가 글로벌 공과대학인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산업 혁신에 나선다. SK텔레콤은 MIT가 올해 2월 발족한 ‘MIT GenAI 컨소시엄’에 창립멤버로 참여해 생성형AI 기술의 상용화와 산업
카카오, 국내 최초로 오픈AI와 손 잡았다…카톡에 기술 적용
카카오가 국내 최초로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양사는 AI 서비스 대중화를 기술을 협력하기로 했다. 카카오톡, 카나나 등 서비스에 오픈AI 기술이 적용될 전망이다. 향후 양사는 AI 관련 공동 프로젝트를 추
‘AI컴퓨팅 인프라전략’ 이달말 발표…”AI 인프라 중요성 여전”
과기정통부, ‘국제 AI 안전연구소 네트워크’ 의장국 수임 제안 예정 민관합동 양자전략위원회 내달 출범…유 장관, 방미해 한미협력 강화 활동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의 주요 토대를 구
SKT ‘갤S25 1호 개통’ 고객 “AI 기능에 아이폰서 환승”(종합)
따로 검색을 하지 않고 말로 요청해도 답을 알려주는 (갤럭시 S25의 AI) 기능이 메리트가 있는 것 같습니다” SK텔레콤(017670) 갤럭시 S25 ‘1호 개통 고객’인 직장인 서경덕 씨(35·인천)는 4일 갤
IBS, 세계 최초 1차원 양자 금속 구현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1차원 양자 금속을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는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 연구단 조문호 단장(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과 하버드 대학 박홍근(Hongkun
네이버, 사우디 LEAP 참가…현지 문화·언어에 특화된 ‘소버린 AI’강조
네이버가 ‘사우디판 CES’라고 불리는 글로벌 IT 전시회 리프(LEAP) 2025에 참가해 현지 문화와 언어를 이해하는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클라우드 기술을 선보인다고 4일 밝혔다. LEAP 2025는 사우
외국은 차단하는데…딥시크 국내 주간 사용자 120만명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앱 주간 사용자 수가 12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 발표한 지난 달 4주 차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생성형 AI 앱’ 통계에
[단독] 극비리 방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이재용 회장 만나 ‘AI 협력’ 논의할까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4일 극비리에 한국을 방문했다. 손 회장은 4일 낮 12시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했다. 그는 방문 목적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답변하지 않은채 입국장을 떠났다. 손 회장의
최태원 만난 오픈AI 올트먼 “원더풀”…삼성·카카오·크래프톤 韓 AI 생태계 다 훑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인공지능(AI) 반도체 및 AI 생태계 확대를 위한 전방위적인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밖에 1년 만에 한국을 찾은 올트먼 CEO는 방한
삼성 ‘갤럭시S25′ 시리즈, 국내 사전 판매 130만대… 역대 최다 기록
삼성전자는 1월 24일부터 2월 3일까지 진행된 갤럭시S25 시리즈의 국내 사전 판매량이 총 130만대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역대 갤럭시S 시리즈 중 최다 사전 판매 기록으로, 직전 기록이었던 갤럭시S24
“딥시크 이렇게나 많이 썼다고?”…챗GPT 이어 2위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의 애플리케이션(앱) 주간 사용자 수가 120만명을 돌파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가 4일 발표한 지난달 4주 차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생성형 AI 앱’ 통
[단독] 이재용·올트먼·손정의 ‘3자회동’ 한다….‘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협업 논의할 듯
이재용 회장 “삼성 AI 반도체·TV 강조할듯” 손정의·올트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협업”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3자 회동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
구글·네이버·카카오, 이용자 요구사항 실시간 처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 부가통신사업자의 이용자 요구사항 처리시스템 개선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이 4일 국무회의를 통과, 1년이 지난 날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요 부가통신사업자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