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IT/과학 뉴스
카페24 “스토어 앱 다운로드 수 100만 회 돌파”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 카페24는 이커머스 전용 애플리케이션 마켓 ‘카페24 스토어’의 누적 앱 다운로드 수가 100만 회를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2018년 7월 출범한 카페24 스토어는 2020년에 누적 앱
체온으로 전자기기 켜는 시대 열린다…세계 첫 ‘고체 열갈바닉전지’ 개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장성연 교수 연구팀이 체온만으로도 실제 전자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고체형 n형 열갈바닉 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기술은 별도의 충전이나 전원 없이도 웨어러블(착
NC AI, MBC와 업무협약…미디어·콘텐츠 AI 전환 나선다
NC AI는 MBC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인공지능(AI) 기반 차세대 미디어·콘텐츠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양사는 MOU를 통해 NC AI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
엔씨, 게임스컴 전야제서 ‘신더시티’·’타임 테이커즈’ 영상 공개
엔씨소프트(036570)가 독일 쾰른에서 열린 게임스컴 전야 행사 ONL(Opening Night Live)에서 신작 두 편의 영상을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게임은 ‘신더시티’와 ‘타임 테이커즈’다
카카오 ‘전국 초등학교, AI 시민교육 신청하세요’
카카오는 디지털 시민교육 프로그램인 ‘사이좋은 디지털 세상’의 2025년 2학기 과정에 참여할 초등학교를 모집한다고 20일 밝혔다. 사이좋은 디지털 세상은 카카오의 기업재단 푸른나무 재단이 운영하는 아동·청소년 대상
KT, 인터넷 1000만 가입 기념 ‘천만의마불·천만의사연’ 캠페인 호응
KT는 인터넷 가입자 1000만 달성을 기념해 선보인 인터랙티브 마케팅 캠페인 ‘천만의마불’과 ‘천만의사연’이 고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천만의마불’은 추억의 보드게임 ‘부루마불’을 모티브로
“K-콘텐츠 글로벌 경쟁력 강화”…한국방송학회, 산업 활성화 해법 모색
한국방송학회는 오는 26일 오전 10시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콘텐츠 산업 활성화와 문화강국 실현’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콘텐츠 산업 진흥 정책 과제를 논의한다. 최근
“최고 수준 안전성” KAIST, 차세대 난수 발생기 개발
이주영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 국제표준 이론적 기반 확립 KAIST 전산학부 황성하(왼쪽부터)·정우혁 박사과정생, 이주영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이론적으로 가능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입증하고, 구조를
엔씨, 게임스컴 ONL서 ‘신더시티’·‘타임 테이커즈’ 영상 공개
엔씨소프트(공동대표 김택진, 박병무)는 독일 쾰른에서 열린 게임스컴 전야 행사 ‘ONL(오프닝 나이트 라이브)’에서 신작 ‘신더시티’와 ‘타임 테이커즈’ 신규 영상을 공개했다. ‘신더시티’는 엔씨소프트의 개발 스튜디
체온만으로 전자기기를 켤 수 없다? 있다!
몸에서 나오는 열만으로 AA 건전지 수준의 전압을 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 장성연 교수팀은 실제 전자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을 만큼의 출력을 갖춘 n형 고체 열갈바닉 전지를 세계 최초로
카카오 “브랜드 메시지, SMS보다 신뢰·마케팅 효과 커”
카카오(035720)가 지난 5월 새로 선보인 기업용 광고 상품 ‘브랜드 메시지’가 기존 문자메시지(SMS) 광고보다 소비자 신뢰와 수용도가 높고, 마케팅 효과 역시 우수하다는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설문에 활용된 플
가우디오랩, 정부 ‘K-FAST’ 사업 참여… AI 더빙 기술 공급
AI 오디오 전문 기업 가우디오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AI 더빙 특화 K-FAST 확산 지원 사업’(이하 K-FAST 확산 지원 사업)에 참여한다고 20일 밝혔다. 가우디오랩은 본
KT, 참여형 마케팅으로 고객 소통 강화
KT(030200)(대표이사 김영섭)는 인터넷 가입자 1천만 달성을 기념해 선보인 인터랙티브 마케팅 캠페인 ‘천만의마불’과 ‘천만의사연’이 성황리에 진행됐다고 20일 밝혔다. 천만의 마불 지난 7월 종료된 ‘천만의마
KAIST, 차세대 난수발생기 설계…”국제 표준 이론적 기반”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이주영 교수 연구팀이 치환(permutation) 기반 결정론적 난수 발생기(DRBG)의 안전성을 분석하는 새로운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고 최적의 효율성을 달성하는 결정론적 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