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2025.03.06 세계 뉴스

美 군용기 활용 불법 이민자 추방 중단…”일등석보다 비싸”

美 군용기 활용 불법 이민자 추방 중단…"일등석보다 비싸" WSJ “이달 들어 군용기 송환 없어”…6일 예정된 비행도 취소 이지헌 특파원 = 취임 직후부터 강도 높은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을 펼쳐온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군용 수송기를 이용한 이민자 추방을 중단했다고 월

OECD “한국, 향후 60년 뒤 인구 반토막”

OECD “한국, 향후 60년 뒤 인구 반토막” 한국 저출산 실태 다룬 책자 발간 “2082년 전체의 58% 65세 이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5일(현지시간) 한국의 심각한 저출산 실태와 대응 방안을 담은 책자를 발간했다. OECD에서 한국의 저출산 문제

트럼프 “반도체법 폐지해야…그 돈으로 부채 절감”

트럼프 "반도체법 폐지해야…그 돈으로 부채 절감" 박성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기에 제정된 반도체법 폐지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의 미 연방 의회에서 행한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

머스크에 뿔나서?…美서 테슬라 방화사건 잇달아

머스크에 뿔나서?…美서 테슬라 방화사건 잇달아 미국과 독일 등에서 테슬라를 겨냥한 방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한 가운데,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를 향한 부정적인 감정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현지시간) 연합뉴스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외곽 리틀턴

美, 우크라에 군사 원조 이어 ‘정보 공유’도 중단

美, 우크라에 군사 원조 이어 '정보 공유'도 중단 미국이 ‘광물 협정’을 둘러싼 충돌 끝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원조를 전면 중단한 가운데, 러시아 동향에 대한 정보 공유도 일시 중단했다. 존 랫클리프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5일(현지 시간) 미국 폭스 계

美백악관 “멕시코·캐나다산 수입車 관세 한 달 면제”

美백악관 “멕시코·캐나다산 수입車 관세 한 달 면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일(현지시간)부터 시행 중인 멕시코, 캐나다 대상 25% 관세 부과에서 자동차에 한해 1개월간 적용을 면제한다고 5일 발표했다. 5일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우

트럼프 “칩스법 없앨 것”… 삼성-SK 보조금 7.5조원 날아갈 판

트럼프 “칩스법 없앨 것”… 삼성-SK 보조금 7.5조원 날아갈 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 시간) 상·하원 의회 합동 연설에서 한국을 대표적인 불공정 무역국 중 하나로 꼽으면서 한국에 대한 압박을 본격화했다. 한국을 ‘우방국(friend)’인데 미국에 ‘손해’를 끼치

OECD, 한국 저출산 경고 “절반으로 쪼그라든다”

OECD, 한국 저출산 경고 "절반으로 쪼그라든다" ‘앞으로 60년간 한국 인구 절반 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가 ‘한국의 태어나지 않은 미래’라는 100페이지 책자를 내고 경고했습니다. OECD에서 한국 저출산 관련 책자가 나온 것은 처음입니다. 2023년 기

美, 인질석방 위해 ‘테러단체 딱지’ 하마스와 이례적 직접대화(종합)

美, 인질석방 위해 '테러단체 딱지' 하마스와 이례적 직접대화(종합) 美, 하마스 테러조직 지정 후 첫 직접대화…”미국민 최선의 이익 위해” 대화 상대 안가리는 ‘트럼프 외교’…北美대화 ‘시즌 2’ 전개될지 주목 조준형 특파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가자지구에 억류돼 있는 미

머스크에 대한 반감 폭발…테슬라 충전기 방화까지

머스크에 대한 반감 폭발...테슬라 충전기 방화까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실세’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미국 시민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 4일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 충전기에 불을 붙이는 방화 사건이

‘보수 우위’ 美대법, ‘대외 원조 동결 해제’ 하급심 명령 유지

'보수 우위' 美대법, '대외 원조 동결 해제' 하급심 명령 유지 강병철 특파원 = 보수 우위의 미국 연방 대법원이 5일(현지시간) 20억 달러 규모의 대외 원조를 동결해달라는 트럼프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대법원은 이날 대외 원조 중단 내지 유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