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8 세계 뉴스
교황청 2인자, 교황 사임설 일축…“절대 아니다”
가톨릭 교회 2인자인 교황청 국무원장이 프란치스코 교황의 건강 문제로 일각에서 제기된 사임설을 일축했다. 17일(현지시간) 안사(ANSA)통신에 따르면 교황청 국무원장인 파롤린 추기경은 이날 이슬람 금식성월 라마단을
트럼프,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에 ‘규제 완화론자’ 보먼 지명
▲ 미 연준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에 지명된 미셸 보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에 미셸 미키 보먼 이사를 지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7일(현지
트럼프 “바이든, 1·6특위 사면 때 자동서명기계 사용해 무효”
▲ 바이든 전 대통령 위치에 오토펜 그림 배치한 트럼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1·6 의사당 폭동 사태를 조사했던 하원 특위의 전·현직 의원 등에 대한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선제적인 사면 조치가 무
한국, 국제기관 평가 2년 연속 ‘독재화’ 국가
한국이 지난 2023년에 이어 지난해까지 2년 연속 ‘독재화’하는 나라로 평가됐습니다. 현지시간 17일 스웨덴 예테보리대 산하 민주주의 다양성 연구소(V-DEM)는 ‘2025년 민주주의 보고서’에 한국의 대통령 탄핵
“美 원자로 설계 韓 유출시도 적발”…’민감국가’ 지정 이유였나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과거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의 도급업체 직원이 한국으로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유출하려다 적발된 사실이 확인됐다. 17일(현지시간) 에너지부
트럼프 ‘자유의 여신상’ 가질 자격 없어…반환 요구한 프랑스[글로벌 왓]
프랑스 정치인이 미국 뉴욕의 상징이 된 ‘자유의 여신상’을 돌려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자유의 여신상이 상징하는 ‘자유’가 곳곳에서 훼손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16일(현지 시간) 일
백악관 경제위원장 “한국에 대한 무역적자 지속” 상호관세 옹호
케빈 해셋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17일(현지시간) “유럽과 중국, 한국에 대한 무역 적자가 매년 지속하고 있다”며 “이런 무역적자가 존재하는 이유는 비관세 장벽이 있고, 관세가 높기 때문에 미
“미국 가던 철강·알루미늄이 유럽으로?”…EU도 장벽 높인다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EU)집행위원장과 2020년 1월 21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회담을 가지고 있다. (사진=AFP)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외국산 알루미늄·철
北, “비트코인 보유량 세계 3등”이라는데…어떻게? [북한은 지금]
가상자산 해킹 조직 ‘라자루스’를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북한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전 세계 3위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17일(현지 시간) 세계 최대 가상자산거래소 바이낸스가 운영하는 바이낸스뉴스, 가상자산 데이터 제
美 “원자로 설계 SW 한국 유출 시도”… 민감국가 지정 배경 된 듯
美정부, 보안 유출 시도 문제 삼아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 들고 한국 가려다 적발 민감국가 지정 주요 배경으로 거론돼 野, 사실 확인도 없이 “핵무장론 때문” 제창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해
백악관, 상호관세 앞두고 주요 무역적자국으로 한국 거명
다음 달 2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둔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당국자가 미국이 무역적자를 보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 중 하나로 한국을 꼽으면서 비관세 장벽 철폐의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케빈 해셋 미 백악관 국가경제위원
캐나다 카니 총리 “트럼프, 무례한 발언 중단해야 대화 시작”
취임 직후 유럽을 순방 중인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현지시간 17일 트럼프 미 대통령이 캐나다를 향해 무례한 발언을 중단해야 양국 관계에 대한 진지한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카니 총리는 이날 순방지인
“폭군 편 미국, ‘자유의 여신상’ 돌려달라” 프랑스 의원 주장
프랑스의 한 의원이 140년 전 미국 건국 100주년 때 프랑스가 미국에 선물한 ‘자유의 여신상’을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미국이 폭군 편이라는 이유에서입니다. 현지시간 16일 르피가로 등 프랑스 언론들에 따
트럼프, 푸틴과 영토 문제 논의한다…전쟁 끝내는 전환점 될까[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 “우크라이나 중립 지위와 나토 불가입” 안전보장 방안으로 제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를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양 정상 간
교황, 입원 후 한 달여 만에 사진 첫 공개…휠체어 앉아 미사
폐렴 진단을 받고 장기 입원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진이 입원 후 한 달여 만에 처음으로 공개됐다. 교황청은 16일(현지시간) 저녁 교황청은 이날 오전 교황이 자신이 입원한 로마 제멜리 병원에 있는 성전에서 미사를
미 민간 달 착륙선, 2주간 임무 마치고 영원히 꺼졌다
사상 두번째 민간 달 착륙선이 2주간의 탐사 활동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임무를 종료했다. 미국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는 달 탐사선 블루고스트가 16일 오후 7시15분(현지시각) 데이터 전송을 끝으로 영면 모드에 들
후티 “美항모 공격” 주장에 미국 “근처도 오지 못했으면서” [핫이슈]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가 16일(현지시간) 미국 해군 항공모함을 겨냥해 드론을 발사했으나 미군에 격추됐다. 야히야 사리 후티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미 해군 항공모함 ‘해리 S 트루먼’호 전단을 목표로 군사 작전
유엔 보고관 “북한 주민 46% 영양실조 추정…만성 식량불안”
만성적 식량 불안이 이어져온 북한에서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영양실조에 걸린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최근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영양실조 유병률은 202